web-standard
웹표준
World Wide Web(www)의 측면을 서술하고 정의하는 공식 표준이나 다른 기술 규격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가 웹 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올바른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사이트나 페이지가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HTML은 접근성과 시맨틱 HTML의 가이드라인을 충족해야 한다.
HTML, XHTML, SVG, XForms와 같은 마크업 언어의 W3C 권고
스타일시트, 특히 CSS의 W3C 권고
흔히 자바스크립트나 ECMA스크립트로 불리는 Ecma 인터내셔널 표준
문서 객체 모델의 W3C 권고
웹접근성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은 장애를 가진 사람과 장애를 가지지 않은 사람 모두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사이트가 올바르게 설계되어 개발되고 편집되어 있을 때 모든 사용자들은 정보와 기능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다.
웹 접근성에는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시각: 실명, 색각 이상, 다양한 형태의 저시력을 포함한 시각 장애
운동성: 파킨슨병, 근육병, 뇌성마비, 뇌졸중과 같은 조건으로 인한 근육 속도 저하, 근육 제어 손실로 말미암아 손을 쓰기 어렵거나 쓸 수 없는 상태
청각: 청각 장애
발작: 깜박이는 효과나 시각적인 스트로보스코프를 통해 일어나는 뇌전증성 발작
인지: 문제 해결과 논리 능력, 집중력, 기억력에 문제가 있는 정신 지체 및 발달 장애, 학습 장애 (난독증, 난산증 등)
크로스 브라우저
여러 브라우저에서 같은 시각적 표현과 기능을 제공해야함을 뜻한다.
브라우저마다 자바스크립트의 버전이 다를 수 있고,
html, css도 마찬가지다.
모던웹은 IE9이상을 지원하는게 일반적이다.
마크업 개발자 하는 친구가 reset.css를 작성하는 것을 봤는데,
이게 왜 하는지 궁금해서 검색해봤더니,
브라우저마다 같은 태그도 렌더링하고나면 생김새가 조금씩 다르다.
이것을 초기화해서 같게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한다.
Last updated